올림픽 효자종목 쇼트트랙에 대해

299
쇼트트랙

쇼트트랙

쇼트트랙은 국내에서 빙상 스포츠 중 가장 인기있는 종목이며 국민 스포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양궁과 더불어 전 세계가 인정하는 세계 최강국으로 올림픽이나 국제 스포츠에서 선수들이 항상 좋은 성적을 두기 때문에 대한민국 남녀노소 불문하고 쇼트트랙을 모르는 사람이 없으며 그 만큼 국민들의 관심도 많은 스포츠입니다

쭉쭉 뻗어나가는 스피드 스케이팅과는 달리 짧은 거리와 트랙으로 인해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승부로 보는 사람을 긴장하며 쫄깃하게 만드는 점도 매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쇼트트랙이 왜 효자종목이며 강국인 이유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 합니다


올림픽 매달 리스트 – 남자부문

연도500M1000M1500M5000M 계주
1992년 김기훈 (금)

이준호 (동)

대한민국 (금)
1994년채지훈 (금)김기훈 (금)

채지훈 (은)

1998년김동성 (금)대한민국 (은)
2002년
2006년안현수 (동)안현수 (금)

이호석 (은)

안현수 (금)

이호석 (은)

대한민국 (금)
2010년성시백 (은)이정수 (금)

이호석 (은)

이정수 (금)대한민국 (은)
2014년
2018년임효준 (금)

올림픽 메달 리스트 – 여자부문

연도500M1000M1500M3000M 계주
1992년 
1994년전이경 (금)

김소희 (동)

대한민국 (금)
1998년전이경 (동)전이경 (금)

원혜경 (동)

대한민국 (금)
2002년고기현 (은)고기현 (금)

최은경 (은)

대한민국 (금)
2006년진선유 (금)진선유 (금)

최은경 (은)

대한민국 (금)
2010년박승희 (동)이은별 (은)

박승희 (동)

2014년박승희 (동)박승희 (금)

심서희 (동)

심석희 (은)대한민국 (금)
2018년최민정 (금)대한민국 (금)

 

위는 올림픽이 개최되었을 때부터 18년 평창올림픽 까지의 매달 리스트들을 정리한 표이며 표만 보아도 왜 세계에서 쇼트트랙 최강국이라 불리는지 알 수 있습니다

메달 획득을 안한 올림픽이 없을 정도로 매번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들이 메달 리스트에 등록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특히 여자 계주부문에서는 금메달 보증수표인듯 매 올림픽을 재패하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쇼트트랙이 동계올림픽으로 채택된 이후로 168개의 메달이 나왔지만 그 중 48개를 대한민국이 가져왔고 평창올림픽까지의 기록을 보면 금24, 은14, 동11개로 동계올림픽 금메달 31개의 3/4 이상을 가져온 것으로 엄청나다고 보면 됩니다


쇼트트랙 강국인 이유는 뭘까

쇼트트랙
평창올림픽 게주 우승

우리나라는 아이스링크가 많은 것도 아니고 선수층 또한 넓지도 않으며 여러가지 조건상 세계 최강국이 될 요소들은 많이 부족한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매 경기마다 메달을 따내며 현재는 세계 최강자리로 우뚝 설 수 있었던 이유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체형

쇼트트랙은 짧은 타원형 트랙을 쓰러질 듯 몸을 눕힌채 빠른 속도로 코너를 돌아야 합니다

이때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이 바로 원심력인데 원심력이란 원을 돌 때 몸을 원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선수들의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혹은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원심력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이 때문에 북미나 북유럽 선수들처럼 키가 큰 선수들보다 다소 체중이 적으며 체격이 작은 아시아 선수들이 유리합니다

키가 너무 크거나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빠른 속도로 코너링을 하게 되면 원심력에 의해 튕겨나갈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문가들도 165~175cm의 신장을 가진 선수들에게 가장 적합한 종목이라 말하며 대한민국 선수들이 이러한 체형에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훈련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훈련은 외국에 비해 더욱 철저하고 과학적이며 강도가 높다고 불리우고 있습니다

티비에서 훈련영상을 보실 때 허리에 고무 벨트를 착용하고 옆으로 가는 훈련을 보신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러한 훈련은 원심력을 이기기위해 구심력을 높히는 훈련으로 코너를 돌 때 더욱 안쪽으로 돌기 위함이라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 선수들이 곡선코스에서 역전 성공률이 높은 이유도 이러한 철저한 훈련이 기반되었기 때문이라 볼 수 있습니다

구심력 훈련 이외에도 태릉선수촌의 쇼트트랙 훈련은 상상을 초월하며 엄청나게 혹독하다고 소문났으며 며 고강도 훈련을 통해 다져진 탄탄한 기본기는 실전에서도 한치의 실수를 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여담으로 쇼트트랙 국가대표가 되는 것이 올림픽 금메달을 따는 것보다 더 힘들다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 노하우

90년대 이후 약 20여년동안 쇼트트랙 강국으로 자리잡으면서 그동안의 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선수들이 차기 선수들이나 후배들에게 본인만의 노하우나 기술들을 전달하며 최정상의 자리를 이어왔다 생각합니다

코너를 돌 때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장갑도 김기훈 선수가 선수생활을 하며 쌓아온 노하우를 통해 개발하였으며 스케이트 날의 각도를 조절하는 벤딩기술, 최신기술이 접목된 유니폼등 오랜기간 쌓아온 노하우와 기술개발로 대한민국 선수들이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게 끔 만들어 줍니다

하지만 요즘 이러한 훌륭한 선수경험이 있는 코치들이 해외로 나가며 외국선수들에게 한국의 기술과 노하우를 가르치는 부분은 상당히 아쉽습니다


쇼트트랙을 알아보며

쇼트트랙

현재 베이징올림픽의 편파판정으로 많은 선수들이 피해를 보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상당히 견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선수들은 역시 쇼트트랙 강국답게 최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좋은 결과를 내주고 있습니다

양궁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이름을 알리며 많은 메달을 안겨주는 올림픽 효자종목이지만 앞으로 더욱 탄탄한 지원과 선수들 내에서 불미스러운 일이 생기지만 않는다면 더 좋은 모습과 결과로 강국의 행세를 이어나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더 알아보기

1XBET 바로가기 (파트너 코드 : CODE42)